티스토리 뷰
목차
1. 프로그램 소개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는 KBS에서 방송되는 토크·건강 교양 프로그램으로, 일상에서 궁금해지는 건강·생활 상식을 전문가가 직접 답변해 주는 형식입니다. 그 중 ‘닥터의 경고’ 코너는 의사들이 주의해야 할 증상과 질환을 설명해 주며, 이번에는 무릎 관절염에 대한 특집으로 구성되었습니다.
2. 주요 내용 요약
2‑1. 무릎 관절염이란?
무릎 관절염은 무릎 관절의 연골이 점진적으로 닳아 없어지는 퇴행성 질환입니다. 연골이 손상되면 뼈와 뼈가 직접 맞닿아 염증·통증이 발생하며, 움직임이 제한되기도 합니다.
2‑2. 주요 경고 신호
- 무릎 우는 듯한 소리(크레피투스)가 자주 발생
- 계단 오르내릴 때 통증이나 무거움 느낌
- 관절이 부어오르고 뻣뻣함이 지속
- 장시간 앉았다가 일어날 때 통증이 갑자기 느껴짐
이러한 증상이 일상에서 잦다면 빠른 진료 및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했습니다.
2‑3. 진단 방법
X‑선 촬영으로 연골 상태, 관절 간격 협소 여부, 뼈 과성장(골극)을 확인하며, 필요 시 MRI로 연부조직 상태를 추가 평가합니다.
2‑4. 치료 및 관리법
- 생활 습관 개선: 체중 감량, 걷기 등 무릎에 부담 적은 운동 권장
- 운동 치료: 대퇴사두근 강화 운동, 스트레칭, 유산소 운동
- 약물 치료: 진통소염제 또는 국소 도포제 사용 (의사 지시 없이 중단·재복용 금지)
- 주사 요법: 히알루론산 등 관절강 주사 형태로 사용하나 남용 주의 필요
- 수술적 치료: 말기에는 관절경 시술, 인공관절 치환수술 고려
2‑5. 오해와 진실
KBS는 과거 방송(2022년 7월)에서 ‘무릎 관절염에 관한 오해와 진실’ 편도 다룬 바 있습니다. “나이는 곧 관절염”이라는 통념은 과장된 것이며, 적절한 운동과 체중 관리로 증상 개선이 가능합니다
3. 전문가 조언 요약
· 작은 소리, 경미한 통증이라도 지속되면 검진받기
· 처음엔 보존적 치료(운동·약물)로 경과 관찰
· 증상 심해질 시 전문의 상담 및 수술 포함 치료 계획 세우기
4. 예방법 & 생활 가이드
4‑1. 체중 관리
체중 1kg 증가 시 무릎 관절에 최대 4배 하중 증가.
4‑2. 근육 강화 운동
- 의자에 앉아 다리 들어 올리기
- 벽에 등을 대고 앉는 스쿼트 자세
- 스트레칭—햄스트링, 종아리 근육 이완
4‑3. 생활 습관 팁
· 장시간 한 자세 피하고, 자주 스트레칭 권장
· 구부정한 자세 대신 적절한 체형 유지
· 무릎 보호대 사용 및 평평한 신발 착용
마무리 한마디
무릎은 우리 생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관절입니다. 방송에서 전문가들이 강조한 것처럼, 작은 신호라도 무시하지 않고 관리한다면 증상 진행을 늦추고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꾸준한 운동과 생활습관 개선이야말로 최선의 예방책입니다.